1. 놀잇감에 따라 관찰의 초점도 달라져야 해요
영아 보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관찰은 놀이 상황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특히 0~2세 아이들의 경우 언어로 설명하기보다 몸과 감각으로 탐색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놀잇감은 아이의 발달 특성과 흥미를 드러내는 주요 수단이 됩니다.
하지만 교사가 모든 놀이를 같은 시선으로 바라본다면, 중요한 발달 단서를 놓치기 쉬워요.
예를 들어, 블록놀이에서는 손의 사용과 도전 과정이 중요하고, 역할놀이는 상상력과 사회적 관계 형성이 중심이 됩니다.
이처럼 놀잇감에 따라 ‘관찰 포인트’가 달라진다는 점을 이해하는 것이 기록의 깊이를 결정짓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교사들이 자주 접하는 대표 놀잇감 4가지(블록, 역할놀이, 물·모래놀이, 책놀이)를 중심으로 관찰 포인트를 구체적으로 정리해볼게요.
2. 블록놀이: 조작 능력과 도전 과정에 주목하기
블록놀이는 손을 사용한 탐색과 조작 능력을 길러주는 대표 활동입니다.
이때 교사가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할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쥐고 놓기, 쌓기 등의 소근육 조절은 얼마나 정교한가?
- 무너지면 어떻게 반응하는가? → 좌절, 도전, 관찰 등 정서적 반응
- 반복적으로 시도하는가, 포기하는가?
- 같은 패턴을 반복하며 실험을 즐기는가?
예:
“승우는 블록을 하나씩 세우다 세 번째 블록이 무너지자 잠시 멈춰 섰고, 다시 블록을 잡아 신중하게 쌓기 시작했다.”
이 문장에는 단순한 행동을 넘어 도전, 실패, 조절, 집중의 흐름이 담겨 있죠.
3. 역할놀이: 상상력, 사회성, 감정 표현이 중심
역할놀이는 아이의 내면 세계가 밖으로 드러나는 놀이입니다.
특히 만 2세 전후로 활발해지며, 이 시기에는 관찰의 초점이 언어 표현, 상상력, 역할 이해, 또래 관계의 맥락에 맞춰져야 합니다.
관찰 포인트:
- 어떤 역할을 선택했는가? (엄마, 아기, 요리사 등)
- 놀이 안에서 감정을 어떻게 표현하는가?
- 또래와의 역할 분담과 갈등 해결 방식은?
- 사실과 상상의 경계를 넘나들며 어떻게 표현하는가?
예:
“하윤이는 인형에게 밥을 먹이며 ‘아프지 마, 약 먹자’고 말하고, 인형을 토닥이며 이불을 덮어주는 모습을 반복했다.”
이 기록 속에는 정서 표현, 돌봄 욕구, 경험 재현이 녹아 있습니다.
4. 모래·물놀이 & 책놀이: 감각과 상호작용의 흐름 읽기
모래·물놀이는 감각 탐색과 집중력, 협력 행동 관찰에 적합합니다.
- 도구(국자, 삽, 통 등)의 사용 방식
- 반복적 움직임 속 안정감을 느끼는지
- 또래와 공간이나 도구를 어떻게 나누는지
예:
“지아는 모래를 바가지에 가득 채우고 친구에게 ‘여기 있어’라고 말하며 건네주었다. 친구가 받자 박수를 치며 웃었다.”
→ 사회성, 감각 만족, 표현의 즐거움이 드러나는 장면입니다.
책놀이는 언어 이해력, 집중력, 주도성, 정서적 반응을 관찰하기에 좋은 놀이입니다.
관찰 포인트:
- 책장을 넘기는 방식과 속도
- 자주 선택하는 책의 특징
- 익숙한 그림이나 단어에 대한 반응
- 이야기 전개에 따라 감정 표현이 있는가?
예:
“민서는 그림책의 동물 그림을 보며 ‘멍멍!’을 반복하고, 개가 넘어지는 장면에서 박장대소하며 교사를 쳐다보았다.”
이 기록은 단순한 책 읽기가 아니라 언어와 정서의 반응, 사회적 관심이 연결된 관찰입니다.
'보육교사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 시 부모와 신뢰 쌓는 말 한마디 TIP 5가지 (4) | 2025.07.04 |
---|---|
부모상담일지 작성법: 핵심 문장은 이렇게 정리하세요 (1) | 2025.07.03 |
0세와 2세, 관찰 접근이 다른 이유는? (0) | 2025.07.03 |
교사의 시선이 달라지는 관찰포인트 정리법 (0) | 2025.07.02 |
발달평가 문장 샘플 10가지 (영역별) (1) | 2025.07.02 |